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를 찾아 군공항 이전 문제 등 호남 지역 현안에 대해 지역 주민들과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 "서로 적절히 타협하면 지금보다 더 나은 상태를 모두 누릴 수 있는데 의견 차이, 오해 이런 것 때문에 현재 나쁜 상황이 계속된다"며 공개 토론을 제안했다.
2시간가량 진행된 간담회에서 광주∙전남 주민들은 다양한 주제로 이 대통령에게 민원과 정책 아이디어 등을 전달했다.
광주 북구에서 온 시민 신동엽씨는 "사법고시가 폐지돼 로스쿨로만 변호사, 판검사가 될 수 있다. '금수저'들만 법학전문대학원을 다닐 수 있다. 다시 사법시험을 부활시켜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대변인과 점심 먹으면서 얘기했는데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닌가 이런 걱정을 잠깐 했다"며 "로스쿨 제도가 이미 장기간 정착됐으니 폐지하는 것은 쉽지 않을테고, 실력이 되면 꼭 로스쿨을 안 나와도 변호사 자격을 검정해서 일정 정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2∙29 무안공항 참사 유가족협의회 김유진 대표는 "대통령이 약속한 항공안전 공약 이행과 특별법 시행령에 근로자만 한정된 저희들 치유 휴직을 공무원이나 자영업하는 모든 유가족이 해당되도록 유가족에게 지속과 지원과 관심을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가족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모든 국민이 안전한 비행기를 탈 수 있도록 진상을 명명백백히 밝히고 책임자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어달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진상 규명은 수사기관에서 하고 있으니 기다려 달라"며 피해자가 근로자냐 공무원이냐에 따라 차등이 있다는 것은 무슨 이야기냐"고 되물었다.
김 대표는 "법적으로 근로자만 치유 휴직이 되게 했고, 공무원은 자기 병가를 써야 하고 자영업자는 생계를 (챙겨야 한다)"고 말하자, 이 대통령은 "국토부 쪽에서 (피해자 입장을) 충분히 듣고 반영했다고 주장했다. 다시 피해자들과 대화하라고 하라. 그때도 부족하면 얘기 더 해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광주 군공항 무안 이전 문제와 관련해 대통령실 산하에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공항을 옮기려는 광주광역시와 이전을 반대하는 무안군 사이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자 정부 주도로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미팅'에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광주 군공항 이전 TF에는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무안군, 국방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가 참여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TF에서 과학적 검증 과정을 거쳐 군공항 이전 시 무안군이 입게 되는 피해 규모, 피해 반경, 피해 보상 지원 방안 등을 확인하라고 주문했다.
실제로 공항을 이전할 경우 광주광역시를 비롯해 전라남도와 정부가 재정 지원을 함께 부담해 무안군청의 피해 보상을 책임질 필요가 있겠다고 언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 등 지역자치단체장과 지역 주민 80여 명이 참여했다.
이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지방, 지역이 어떻게 하면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을까,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까, 현장에 계신 여러분들의 얘기를 생생히 듣고 싶었다"며 "많은 시사점도 있고 가능성도 찾았다. 역량을 발휘해서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